연봉 실수령액은 국민연금, 건강보 험, 고용보 험, 근로소득세, 지방소득세를 제외하고 실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말합니다. 오늘은 2024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연봉 구간별로 알아보겠습니다.
회사에 입사하거나 이직 등 연봉계약서를 작성할 때는 연봉이 얼마인지보다 더 중요한 실수령액을 궁금해 합니다. 세금과 4대 보 험, 각종 공제 항목들로 인해 연봉과 실수령액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합니다.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재정 계획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연봉과 실수령액 차이
연봉은 회사에서 지급하는 총 금액을 의미하지만 실수령액은 그 금액에서 세금, 국민연금, 건강보 험, 고용보 험, 장기요양보 험 등 여러 공제 항목을 뺀 후 실제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.
주요 공제 항목
- 소득세 : 국세청에서 정한 세율에 따라 부과되며, 연봉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입니다. 일부 소득 구간의 세율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매년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4대보 험 : 국민연금, 건강보 험, 고용보 험, 장기요양보 험 등이 있으며 이들은 급여의 일정 비율을 차감합니다
- 지방소득세 : 소득세의 10%에 해당하는 금액이 추가로 지방세로 부과됩니다.
구분 | 원천징수율 | 비고 | 비고 |
국민연금 | 소득의 4.5% | 회사와 각각 50%씩 부담 | 월 최대 납부액 277,650원 |
건강보 험료 | 소득의 3.545% | ||
장기요양보 험료 | 건강보 험료의 12.95% | ||
고용보 험료 | 소득의 0.9% |
국민연금은 세전 월급에서 4.5%만큼 원천징수합니다. 월 최대 징수액(납부액)이 277,650원으로 상한선이 정해져있습니다.
실수령액 계산 방법
실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연봉에서 위 항목들을 차감한 금액을 계산해야 합니다. 이를 더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각종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인데, 본인의 연봉과 상황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면 보다 정확한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024년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표
4,000만원대
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연봉이 포함되어 있는 4,000만원 대의 실수령액 표입니다.
연봉 | 월급(세전) | 실수령액(세후) | 실수령액 / 월급 |
4,000 만원 | 333 만원 | 290 만원 | 87% |
4,100 만원 | 342 만원 | 297 만원 | |
4,200 만원 | 350 만원 | 303 만원 | |
4,300 만원 | 358 만원 | 310 만원 | 86% |
4,400 만원 | 367 만원 | 316 만원 | |
4,500 만원 | 375 만원 | 323 만원 | |
4,600 만원 | 383 만원 | 328 만원 | |
4,700 만원 | 392 만원 | 335 만원 | 85% |
4,800 만원 | 400 만원 | 341 만원 | |
4,900 만원 | 408 만원 | 347 만원 | |
5,000 만원 | 417 만원 | 354 만원 |
연봉 4,000만원 기준으로 약 13%의 원천징수 세금과 보 험료가 발생하여 실수령액은 세후 290만원 정도입니다.
5,000만원대
연봉 | 월급(세전) | 실수령액(세후) | 실수령액 / 월급 |
5,000 만원 | 417 만원 | 353 만원 | 85% |
5,100 만원 | 425 만원 | 360 만원 | |
5,200 만원 | 433 만원 | 366 만원 | 84% |
5,300 만원 | 442 만원 | 372 만원 | |
5,400 만원 | 450 만원 | 378 만원 | |
5,500 만원 | 458 만원 | 385 만원 | |
5,600 만원 | 467 만원 | 391 만원 | |
5,700 만원 | 475 만원 | 397 만원 | |
5,800 만원 | 483 만원 | 403 만원 | 83% |
5,900 만원 | 492 만원 | 410 만원 | |
6,000 만원 | 500 만원 | 416 만원 |
5,000만원의 경우는 세후 월 수령액이 353만원 가량이며 원천징수 세율은 15%입니다.
6,000만원대
연봉 | 월급(세전) | 실수령액(세후) | 실수령액 / 월급 |
6,000 만원 | 500 만원 | 416 만원 | 83% |
6,100 만원 | 508 만원 | 422 만원 | |
6,200 만원 | 517 만원 | 428 만원 | |
6,300 만원 | 525 만원 | 435 만원 | |
6,400 만원 | 533 만원 | 441 만원 | |
6,500 만원 | 542 만원 | 447 만원 | |
6,600 만원 | 550 만원 | 453 만원 | 82% |
6,700 만원 | 558 만원 | 459 만원 | |
6,800 만원 | 567 만원 | 466 만원 | |
6,900 만원 | 575 만원 | 472 만원 | |
7,000 만원 | 583 만원 | 479 만원 |
연봉 6,000만원은 실수령 월급이 416만원이며 원천징수세율이 약 17%로 올라갑니다.
초과 누진세율 정책
우리나라는 초과 누진세율 정책으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. 10억을 초과하는 부분은 세율이 45%나 됩니다.
Comment
연봉 실수령액을 미리 파악해두면 매월 받게 될 급여를 계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, 세금 혜택이나 절세 방법을 고려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. 특히 본인의 재정 상황에 맞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활용하거나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기회를 통해 자신의 실수령액을 잘 계산하고, 더 나은 재정 관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.